https://www.acmicpc.net/problem/11000
11000번: 강의실 배정
첫 번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200,000) 이후 N개의 줄에 Si, Ti가 주어진다. (0 ≤ Si < Ti ≤ 109)
www.acmicpc.net
문제
수강신청의 마스터 김종혜 선생님에게 새로운 과제가 주어졌다.
김종혜 선생님한테는 Si에 시작해서 Ti에 끝나는 N개의 수업이 주어지는데, 최소의 강의실을 사용해서 모든 수업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참고로, 수업이 끝난 직후에 다음 수업을 시작할 수 있다. (즉, Ti ≤ Sj 일 경우 i 수업과 j 수업은 같이 들을 수 있다.)
수강신청 대충한 게 찔리면, 선생님을 도와드리자!
입력
첫 번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200,000)
이후 N개의 줄에 Si, Ti가 주어진다. (0 ≤ Si < Ti ≤ 109)
출력
강의실의 개수를 출력하라.
예제 입력 1 복사
3
1 3
2 4
3 5
예제 출력 1 복사
2
내 풀이 (시간 초과)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lecs = []
for i in range(n):
lecs.append(list(map(int, input().split())))
lecs.sort(key = lambda x: (x[0], x[1]))
queue = deque()
for lec in lecs:
queue.append(lec)
classes = []
while queue:
a, b = queue.popleft()
count = 0
for c, d in lecs:
# 이을 수 있는 경우
if b <= c:
if [a, b] in lecs:
lecs.remove([a, b])
lecs.append([a, d])
queue.append([a, d])
lecs.remove([c, d])
print(len(lecs))
입력되는 N이 최대 200,000 까지 들어오기 때문에 위의 코드로는 돌아가지 않았다.
자료구조를 생각하면서 문제를 푸는 연습이 필요하다.
찾아본 풀이
파이썬 알고리즘 : 백준 11000번 - 강의실 배정
이번 풀이의 핵심 힌트는 우선순위 큐 입니다. 우선순위 큐를 이용해 백준 11000번 (강의실 배정) 문제를 파이썬으로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자료구조를 잘 사용하시면 문제가 쉬워지는 것
joooosan.tistory.com
위 링크의 문제 풀이 아이디어
-> 이 문제는 '강의가 겹치는지'만 확인하면 된다.
따라서 강의실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은 단 한 가지. 강의가 끝나지 않았는데 다른 강의가 시작하는 것 !
이를 우선순위 큐를 사용해 풀었다.
우선순위 큐란? 큐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안의 노드들이 정렬이 되어 있는 큐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면 끝나는 시간이 가장 빠른 강의부터 pop 할 수 있다.
1. 강의 리스트 정렬 (시작하는 시간 순)
2. 첫 번째 강의가 끝나는 시간을 우선순위 큐에 추가 (즉, 우선순위 큐에 들어가는 것은 '강의 종료 시간')
3. 강의 리스트의 1번째 인덱스부터 마지막까지 반복문 실행
1. 우선순위 큐의 첫 번쨰 인덱스에 접근 (우선순위 큐는 끝나는 시간이 빠른 순을로 정렬 되어있음)
2. 강의의 시작시간이 우선순위 큐 첫 번쨰 인덱스보다 작다면 해당 강의의 끝나는 시간을 우선순위 큐에 추가 (끝나지 않았는데 시작)
3. 아니라면 우선순위 큐의 첫 번쨰 인덱스를 pop 한 후 해당 강의의 끝나는 시간을 우선순위 큐에 추가 (한 강의실에 합친다.)
이렇게 하면 우선순위 큐의 크기는 필요한 강의실 개수가 된다.
풀이 코드
import heapq
n = int(input())
lecture_list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lecture_list.sort()
lecture_queue = []
heapq.heappush(lecture_queue, lecture_list[0][1])
for i in range(1, n):
# 강의가 겹치는 경우
if lecture_list[i][0] < lecture_queue[0]:
heapq.heappush(lecture_queue, lecture_list[i][1])
else:
# heappop은 가장 작은 수 반환, 큐에서 삭제
heapq.heappop(lecture_queue)
# heappush는 큐에 삽입 (자동 오름차순 정렬)
heapq.heappush(lecture_queue, lecture_list[i][1])
print(len(lecture_queue))
후기
적절한 자료구조를 적용할 수 있게 자료구조를 좀 더 공부해야겠다.
내일은 heapq 문제 하나 더 풀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