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습)
2 초 | 512 MB | 51644 | 20338 | 11823 | 36.373% |
문제
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모든 나라는 1×1 크기이기 때문에, 모든 국경선은 정사각형 형태이다.
오늘부터 인구 이동이 시작되는 날이다.
인구 이동은 하루 동안 다음과 같이 진행되고, 더 이상 아래 방법에 의해 인구 이동이 없을 때까지 지속된다.
- 국경선을 공유하는 두 나라의 인구 차이가 L명 이상, R명 이하라면, 두 나라가 공유하는 국경선을 오늘 하루 동안 연다.
- 위의 조건에 의해 열어야하는 국경선이 모두 열렸다면, 인구 이동을 시작한다.
- 국경선이 열려있어 인접한 칸만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으면, 그 나라를 오늘 하루 동안은 연합이라고 한다.
- 연합을 이루고 있는 각 칸의 인구수는 (연합의 인구수) / (연합을 이루고 있는 칸의 개수)가 된다. 편의상 소수점은 버린다.
- 연합을 해체하고, 모든 국경선을 닫는다.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졌을 때,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L, R이 주어진다. (1 ≤ N ≤ 50, 1 ≤ L ≤ R ≤ 1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진다. r행 c열에 주어지는 정수는 A[r][c]의 값이다. (0 ≤ A[r][c] ≤ 100)
인구 이동이 발생하는 일수가 2,000번 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첫째 줄에 출력한다.
풀이 (정답 참고)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upper, lower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dx = [-1, 1, 0, 0]
dy = [0, 0, -1, 1]
queue = deque()
def bfs(x, y):
loc = []
queue.append([x, y])
loc.append([x, y])
while queue:
x, y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x, ny = x + dx[i], y + dy[i]
if 0 <= nx < N and 0 <= ny < N and not visited[nx][ny]:
if upper <= abs(graph[nx][ny] - graph[x][y]) <= lower:
loc.append([nx, ny])
queue.append([nx, ny])
visited[nx][ny] = True
return loc
count = 0
while True:
flag = False
visited = [[False] * N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not visited[i][j]:
visited[i][j] = True
loc = bfs(i, j)
# 조건에 의해 국경선이 모두 열렸다면, 인구 이동 시작
if len(loc)>1:
flag = True
# 연합 이루고 있는 각 칸 인구수 변경
number = sum([graph[x][y] for x, y in loc]) // len(loc)
for x, y in loc:
graph[x][y] = number
# 연합이 없다면 종료
if flag == False:
break
count += 1
print(count)
처음에 비슷하게 로직을 짰다가 계속 안돼서 두세시간을 허비했다 ㅠ
문제는 loc = [] 선언을 bfs함수가 아닌 while문에 해준 것..
이걸 처음부터 bfs에 선언 해 줬으면 각각 연합끼리 인구분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그렇게 생각을 못 했다.
방문처리, 방문확인을 하고 bfs를 돌리기 때문에 이전에 걱정했던 '2개의 연합이 있을 때, 연합1의 인구 이동이 연합2의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는 자동적으로 해결되는 것이다.
코드를 좀 더 거시적인 눈으로 뜯어볼 줄 알아야 한다.

'알고리즘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상범 빌딩 Python (0) | 2023.02.08 |
---|---|
[BOJ] 2660 회장뽑기 Python (0) | 2023.02.07 |
[BOJ] 2251 물통 Python (0) | 2023.02.01 |
[BOJ] 16928 뱀과 사다리 게임 Python (0) | 2023.02.01 |
[BOJ] 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Python (0) | 202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