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Baekjoon

[BOJ] 2156 포도주 시식 Python

포도주 시식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 128 MB 118989 40447 29157 32.513%

문제

효주는 포도주 시식회에 갔다. 그 곳에 갔더니, 테이블 위에 다양한 포도주가 들어있는 포도주 잔이 일렬로 놓여 있었다. 효주는 포도주 시식을 하려고 하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규칙이 있다.

  1. 포도주 잔을 선택하면 그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는 모두 마셔야 하고, 마신 후에는 원래 위치에 다시 놓아야 한다.
  2. 연속으로 놓여 있는 3잔을 모두 마실 수는 없다.

효주는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양의 포도주를 맛보기 위해서 어떤 포도주 잔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는 n개의 포도주 잔이 순서대로 테이블 위에 놓여 있고, 각 포도주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의 양이 주어졌을 때, 효주를 도와 가장 많은 양의 포도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6개의 포도주 잔이 있고, 각각의 잔에 순서대로 6, 10, 13, 9, 8, 1 만큼의 포도주가 들어 있을 때,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포도주 잔을 선택하면 총 포도주 양이 33으로 최대로 마실 수 있다.

입력

첫째 줄에 포도주 잔의 개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0)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포도주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의 양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포도주의 양은 1,000 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대로 마실 수 있는 포도주의 양을 출력한다.

풀이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d = [0]*10000
dp = [0]*10000

for i in range(n):
    d[i] = int(input())
dp[0] = d[0]
dp[1] = d[0]+d[1]
dp[2] = max(d[0]+d[1], d[0]+d[2], d[1]+d[2])

for i in range(3, n):
    dp[i] = max(d[i]+d[i-1]+dp[i-3], d[i]+dp[i-2], dp[i-1])
print(max(dp))

dp문제는 앞서 계산한 문제를 사용하면서 푸는 문제이다.

따라서 dp문제를 풀 때는 항상 문제를 풀 때 적용될 수 있는 공식을 먼저 생각하고 그걸 코드로 구현하자.

정답 코드를 참고한 문제이다.

특정 시점에서 가능한 경우의 수는 세가지이다.

1. 해당 시점 포도주 마시기 + 전 포도주 마시기 -> d[i]+d[i-1]+dp[i-3]

2. 해당 시점 포도주 마시기 + 전 포도주 마시지 않기 -> d[i]+dp[i-2]

3. 해당 시점 포도주 마시지 않기 -> dp[i-1]

 

dp는 원리만 정확히 알고 구현하면 재밌는 알고리즘 같다.

'알고리즘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9465 스티커 Python  (0) 2023.04.04
[BOJ] 1446 지름길 Python  (0) 2023.04.04
[BOJ] 1911 흙길 보수하기 Python  (0) 2023.03.23
[BOJ] 27210 신을 모시는 사당 Python  (0) 2023.03.23
[BOJ] 16918 붐버맨 Python  (0) 2023.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