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Baekjoon

[BOJ] 9465 스티커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9465

 

9465번: 스티커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두 줄에는 n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각 정수는 그 위치에 해당하는 스티커의

www.acmicpc.net

https://stonejjun.tistory.com/48(DP문제 팁)

 

DP를 공부하는법 & DP 문제 팁

이번에 다양한 테스트 시즌, 입학 시즌 등등의 이유로 코딩(PS)를 시작하려고 하시는 분들이 꽤나 있을 것 같다. 그러한 분들, 이번 신입생들 등을 위해서 내가 그나마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인 D

stonejjun.tistory.com

스티커

한국어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1 초 256 MB 60383 28178 19572 46.722%

문제

상근이의 여동생 상냥이는 문방구에서 스티커 2n개를 구매했다. 스티커는 그림 (a)와 같이 2행 n열로 배치되어 있다. 상냥이는 스티커를 이용해 책상을 꾸미려고 한다.

상냥이가 구매한 스티커의 품질은 매우 좋지 않다. 스티커 한 장을 떼면, 그 스티커와 변을 공유하는 스티커는 모두 찢어져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뗀 스티커의 왼쪽, 오른쪽, 위, 아래에 있는 스티커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모든 스티커를 붙일 수 없게된 상냥이는 각 스티커에 점수를 매기고, 점수의 합이 최대가 되게 스티커를 떼어내려고 한다. 먼저, 그림 (b)와 같이 각 스티커에 점수를 매겼다. 상냥이가 뗄 수 있는 스티커의 점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즉, 2n개의 스티커 중에서 점수의 합이 최대가 되면서 서로 변을 공유 하지 않는 스티커 집합을 구해야 한다.

위의 그림의 경우에 점수가 50, 50, 100, 60인 스티커를 고르면, 점수는 260이 되고 이 것이 최대 점수이다. 가장 높은 점수를 가지는 두 스티커 (100과 70)은 변을 공유하기 때문에, 동시에 뗄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두 줄에는 n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각 정수는 그 위치에 해당하는 스티커의 점수이다. 연속하는 두 정수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 있다.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 마다, 2n개의 스티커 중에서 두 변을 공유하지 않는 스티커 점수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풀이 코드 (정답 참고)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t = int(input())
for _ in range(t):
    n = int(input())
    graph = []
    for i in range(2):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 i == 0:
            continue
        if i == 1:
            graph[0][i] = graph[1][i-1]+graph[0][i]
            graph[1][i] = graph[0][i-1]+graph[1][i]
        else:
            graph[0][i] = max(graph[1][i-1], graph[1][i-2])+graph[0][i]
            graph[1][i] = max(graph[0][i-1], graph[0][i-2])+graph[1][i]
    print(max(graph[0][n-1], graph[1][n-1]))

도저히 규칙을 떠올릴 수가 없어서 정답을 참고했다. ㅜ 

dp문제는 규칙만 떠올리면 코드 구현은 정말 간단한게 재밌는 것 같은데, 규칙을 스스로 떠올리는 부분이 아직 너무 부족하다.

첫 열을 0열이라 했을 때 2열부터는 일정한 규칙으로 값을 구할 수 있다.

index 0 1 2 3 4
0 50 10 + 30 = 40 max(100, 30) + 100 = 200 max(120, 100) + 20 = 140 max(210, 120) + 40 = 250
1 30 50 + 50 = 100 max(40, 50) + 70 = 120 max(200, 40) + 10 = 210 max(140, 200) + 60 = 260

이렇게 dp문제는 세번째 순서부턴 일정한 규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걸 혼자 잘 찾아낼 수 있어야 할 텐데..

 

https://stonejjun.tistory.com/24

 

좋은 DP 문제들 추천

완벽하다고 이야기하지는 못하겠지만, 거의 DP 원툴로 해온 사람으로서 그래도 나름 좋은 문제들이라고 생각한다. DP에 대한 기본 지식은 이전글에 나름 자세히 나와있다. DP 문제를 공부하는 법

stonejjun.tistory.com

참고해서 연습해봐야지.

'알고리즘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9095 1, 2, 3 더하기 Python  (0) 2023.04.11
[BOJ] 1260 DFS와 BFS Python  (0) 2023.04.11
[BOJ] 1446 지름길 Python  (0) 2023.04.04
[BOJ] 2156 포도주 시식 Python  (0) 2023.03.28
[BOJ] 1911 흙길 보수하기 Python  (0)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