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Baekjoon

[BOJ] 1260 DFS와 BFS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260

 

1260번: DFS와 BFS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

www.acmicpc.net

DFS와 BFS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 128 MB 228028 86102 51127 36.593%

문제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출력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

풀이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odes, lines, start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odes+1)]

# 노드와 간선 정보 저장
for _ in range(lines):
    s, e = map(int, input().split())
    graph[s].append(e)
    graph[e].append(s)
    
# 숫자가 작은 노드부터 방문하기 때문에 오름차순 정렬
for i in range(len(graph)):
    graph[i] = sorted(graph[i])

# dfs
visited = [False]*(nodes+1)
answer = []
def dfs(now):
    visited[now] = True
    answer.append(now)
    # 더이상 방문할 노드가 없다면 종료
    if not False in visited:
        return
    for i in graph[now]:
        if not visited[i]:
            dfs(i)
dfs(start)
print(*answer)

#bfs
queue = deque()
answer = []
visited = [False]*(nodes+1)
queue.append(start)
answer.append(start)
visited[start]=True
while queue:
    now = queue.popleft()
    for i in graph[now]:
        if not visited[i]:
            visited[i] = True
            answer.append(i)
            queue.append(i)
print(*answer)

BFS, DFS 기본 문제이다.

오랜만에 풀어서 조금 시간이 걸렸다.

dfs는 재귀, bfs는 데크를 이용하는것 먼저 잘 생각하자!

그리고 처음에 노드, 간선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graph[s].append(e)로 단방향으로만 정보를 저장해서 수정하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문제에도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적혀있었는데, 담부턴 실수 하지 말자 !!

코드가 조금 긴 것 같아 불필요한 자료형인 answer을 삭제해봤다. (시간 아주 조금 절약)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odes, lines, start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odes+1)]

# 노드와 간선 정보 저장
for _ in range(lines):
    s, e = map(int, input().split())
    graph[s].append(e)
    graph[e].append(s)

# 숫자가 작은 노드부터 방문하기 때문에 오름차순 정렬
for i in range(len(graph)):
    graph[i] = sorted(graph[i])

# dfs
visited = [False]*(nodes+1)
def dfs(now):
    visited[now] = True
    print(now, end=' ')
    # 더이상 방문할 노드가 없다면 종료
    if not False in visited:
        return
    for i in graph[now]:
        if not visited[i]:
            dfs(i)
dfs(start)
print('')

#bfs
queue = deque()
visited = [False]*(nodes+1)
queue.append(start)
visited[start]=True
while queue:
    now = queue.popleft()
    print(now, end=' ')
    for i in graph[now]:
        if not visited[i]:
            visited[i] = True
            queue.append(i)

되도록이면 불필요한 자료형은 줄이자.

'알고리즘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11726 2xn 타일링 Python  (0) 2023.04.12
[BOJ] 9095 1, 2, 3 더하기 Python  (0) 2023.04.11
[BOJ] 9465 스티커 Python  (0) 2023.04.04
[BOJ] 1446 지름길 Python  (0) 2023.04.04
[BOJ] 2156 포도주 시식 Python  (0) 2023.03.28